정책자금을 지원받기 위해서는 계획사업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하며
통상적으로 그 계획서의 양식은 소정의 양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정책자금 집행을 통한 정부의 목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력 : 학력은 높을수록 유리하며, 전공분야와 근접할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개인 창업의 경우는 특히 이 분야를 염두에 둬야하며, 필요하면 전략적으로 해당분야 전문 학력을 가진 사람과 동업을 구상하는 것도 필요한 방법이다.
경력 : 계획사업과 동일한 분야의 경력이면 가장 유리하지만 요즘은 융합의 시대이므로 다른 분야의 경력일지라도 통합과 융합차원에서 경력을 연결시키기는 것도 중요하다. 즉, 심사위원들이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인 연계성 설명이 필요한 것이다.
연령 : 사업아이템에 따라서는 다소간 차이가 있지만 보통은 직장생활의 경험이 약 5년 이상 되는 35세와 40세 전후를 선호하고 있다. 나이가 너무 어리거나 너무 많게 되면 그만큼 사업리스크가 크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정책 호응도 : 신청하고자 하는 정책자금의 취급 부처와 자금의 집행용도를 명확히 알아서 가장 적합하게 시책에 호응함을 보여줘야 한다.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부분은 해당정부나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교육이나 사업에 참여했던 경험을 부각시켜주면 유리하다.만약 그런 실적이 없다면 향후에 구체적으로 교육일정을 파악하여 교육을 받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것도 중요하다. 최근 정책의 방향은 일자리 창출과 비즈니스기회의 확대라고 할 수 있으므로 모든 정책자금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짐을 강조하여야 한다. 보다 많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전문가들보다 일반인들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사업에 정부당국은 매력을 느낀다.
자질과 능력 : 자신의 소질, 적성, 대회활동, 연수실적, 문제해결능력, 신사업성공사례 등을 계획사업과 연계해서 구체적으로 어떤 점에서 경쟁력이 있고 사업성공가능성이 있는 지를 논리적으로 설명하여야 한다. 즉, 심사위원들은 구체적인 능력의 질보다는 창업자의 능력이나 역량이 계획사업의 성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상식적인 수준에서 이해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자금상환능력 :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도 결과적으로는 채권을 확보하는 일에 철저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국가 공적자금을 집행하는 당사자이기 때문에 합법적으로 배분하려고 할 것이며 또한 정책자금으로 대출한 자금을 어떻게 아전하게 회수할 것인지에 대한 안정적인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창업자입장에서는 자금이 얼마가 필요하다는 자금수요를 정확하게 밝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비중있게 심사하는 것은 대출받은 자금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상환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으로 가능한 상환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세무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을 더 내거나, 덜 냈다면? (0) | 2010.09.10 |
---|---|
부담부 증여를 할때는 (0) | 2010.09.09 |
원천징수의무자란? (0) | 2010.09.03 |
국세기본법상 제척기간이란? (0) | 2010.09.02 |
세금구제의 길 (0) | 201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