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성수 문제

신복음주의(New Evangelicalism)의 자유주의화

천국생활 2008. 3. 27. 14:39

신복음주의(New Evangelicalism)

 

오늘날 교회의 또 하나의 문제는 신복음주의이다. 그것은 자유주의 교회들로부터의 분리를 반대하는 입장을 가리킨다. 어떤 이들은 자유주의 교단들 안에 머물러 있다.

 

다른 '많은' 복음주의 교회들과 단체들은 자유주의 교회들과의 연합 집회나 활동을 찬성한다. 신복음주의의 대표적 예는 부흥사 빌리 그레이엄이다. 그는 1950년대 이후 그의 전도 활동의 방침을 변경하여 각 지역의 교회 전체의 후원 아래서만 전도 집회를 열었다. 그것은 자유주의자들이나 자유주의 교단들과의 협력을 의미한다.

 

그러나 역사적 대교단들이 자유주의화 된 상황이므로 대교단들과의 연합 활동들은 자유주의적 이단을 용납하고 그들과 타협하는 일이 된다.

 

사실상, 신복음주의의 입장은 오늘날 기독교계의 배교적 상황에서 고립되기를 싫어하고 좁은 길 걷기를 싫어하는 인간적 생각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이 입장은 하나님 앞에서 연약이요 불성실이요 불순종이다.

 

-------------------------------------------------

- New Evangelicalism -

D. 클라우드  

 

<<신복음주의의 원칙들>>

 

다음은 신복음주의의 6 가지 주요 원칙들이다.

 

1. 분리의 거부

“많은 복음주의자들이 울려 퍼지는 분리주의의 거부에 대하여.....열렬한 반응을 보였다.”(해롤드 오켕가)

 

빌리 그래함은 1950년대 이후로 로마 카톨릭 및 현대주의자와 함께 손을 잡고 일해 왔다. 복음주의 진영은 그를 칭찬하고 높이고 있다. 복음주의자들은 연합감리교회와 미장로교회와 같이 현대주의자가 침투한 교단들과 분리되지 않았다.

 

1997년에 미복음주의자협회(NAE) 회장인 돈 아구에(Done Argue)는 미교회협의회(NCC) 총회에서 연설을 했다. 극단적으로 현대주의적인 NCC는 1993년 11월에 미니에폴리스에서 개최된 Re-imaging Conference와 같은 일들을 후원했다. 이 회의에는 다양한 주요 교단에서 온 수백 명의 여자들이 동성애를 성원하고 여신 소피아를 경배했다.

 

Foundation 잡지의 부발행인인 데니스 코스텔라(Dennis Costella)는 1986년에 암스텔담에서 개최된 세계복음화국제대회에서 자유주의의 위험에 관해 경고하는 메시지를 전한 영향력있는 복음주의 지도자인 스티븐 올포드 박사(Dr. Stephen Olford)와 그의 메시지에  관해 대담을 가졌다.  

 

     코스텔라 : “당신은 메시지에서 자유주의의 위험과 어떻게 자유주의가 복음전도자와 그의 사역을 무너뜨릴 수 있는지를 강조했다. 이 회의는 복음전도자들에게 자유주의와 자유주의자를 어떻게 인지하며, 그가 집으로 돌아갔을 때 동일한 것을 어떻게 피할 수 있는지에 관해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가?”  

 

     올포드 : “자유주의자를 피하는 것은 잘못된 영이다! 나는 자유주의자들과 같이 지내는 것을 좋아하며, 특별히 그들이 기꺼이 배우고자 할 때, 모든 답변을 가지고 있는 고집 센 근본주의자들보다 같이 지내기를 훨씬 더 좋아한다.”

 

이것은 오늘날 복음주의에 침투한 태도의 한 예이다.

분리는 실행되지 않고 있으며 사실상 멸시되고 있다.

 

 

 

성경은 어떻게 말씀하고 있는가

 

     “그들을 지목하고...그들을 피하라.” (롬 16:17)

     “너희는 맞지도 않는 멍에를 함께 메지 말라.”(고후 6:14)

     “사귐을 갖거나 친교를 나누지 말라.”(고후 6:14)

     “그들 중에 나와서 분리되라”(고후 6:17)

     “그러한 자들로부터 떠나라.”(딤전 6:5)

     “피하라.”(딤후 2:16)

     “자기를 정결케 하면”(딤후 2:21)

     “이 같은 자들에게서 돌아서라.”(딤후 3:5)

     “거절하라”(딛 3:10)

     “너희 집에 받아들이지도 말고 그에게 축복 인사도 하지 말라.”(요이 10)   

 

 

 

 

 

2. 에큐메니칼 관계가 교리보다 더 중요하다.

 

   “신복음주의자들은 신학적 논쟁에의 재참여, 교단적 지도력의 회복을 .....강조하였다.”(해롤드 오켕가)

 

예 :

   a. 마이클 하퍼(Michael Harper)의 책 세 자매들(Three Sisters)(1979년 틴데일 하우스 발행)은 복음주의자, 은사주의자, 로마카톨릭 사이의 하나됨을 촉구한다. 세 자매의 이름은 에반젤린(Evangeline)과 카리스마(Charisma)와 로마(Roma)이다. 저자는 “기독교계에서 세 세력들 사이에서 커지고 있는 하나됨은 바람직하며 가능하다는 것이 나의 확신이다.”라고 주장했다. (p. 41)

 

   b. 바스킨-로빈스 기독교 :  콜로라도 스프링 시(市)에 소재한 새생명교회의 목양자 테드 하가드(Ted Haggard)는 에큐메니칼 복음주의를 촉구하는 논설에서 교리적 신념을 아이스크림의 여러 가지 맛에 비유했다.

 “나는 모든 종류의 아이스크림을 좋아한다. 어떤 때는 카라멜과 생크림과 호두와 체리가 있는 바닐라를 원한다. 어떤 때는 바나나 또는 쵸코렛 칩이 있는 로키 로드(Rocky Road)를 원한다. 이것이 내가 바스킨-로빈스 아이스크림 가게를 좋아하는 이유이다.....내가 목양자로 있는 콜로라도 주(州)의 콜로라도 스프링 시(市)에서 우리는 교회의 90 가지 맛을 누린다.....나는 많은 기독교 교단에 존재하는 훌륭한 성경 해석을 감상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당신은 당신의 교회와 거리의 회중 사이에 담을 세운 적이 있는가? 당신은 마음으로 다른 기독교 단체를 판단하거나 그들을 공개적으로 비난한 적이 있는가? 나는 성령님께서 우리의 담을 제거하시고, 우리를 지켜보고 있는 세상에 대해 우리가 연합되었음을 증명하도록 부르시고 계신다고 믿는다.” (테드 하가드, “We Can Win Our Cities...Together" Charisma, 1999년 7월)  

 

   c. 잭 반 임프(Jack Van Impe) : "성령님께서는 에베소서 4:3에서 우리가 ‘화평의 띠로 성령의 하나됨을 힘써 지켜야’ 한다고 선언하고 계신다. 과거에 나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나는 그리스도인들을 나누었다. 하나님께서는 카톨릭교도, 루터교도, 침례교도, 오순절주의자의 마음에 오신다. 그리고 우리 안에 계신 하나님과 함께 우리는 서로 교제를 나눌 수 있다.” (반 임프의 TV 프로그램, 1995년 7월 23일)

 

   d. 죠셉 스토웰(Joseph Stowell)(무디 성경학교 교장)은 1996년 3월 미복음주의자협회(NAE) 총회에서 향한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하나님께서는 결코 우리의 차이가 우리를 나누도록 하신 적이 없다. 만약 당신이 그리스도께 속해 있다면 당신은 그 차이점과 상관이 없으며, 그 밖에 다른 모든 것도 별로 중요하지 않게 된다. 아틀란타에서 개최된 Promise Keeper 성직자 회의는 그 하나됨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내가 아틀란타에서 한 것 같이, 우리는 반드시 우리의 태도를 회개하여야 한다. 나는 내가 갖고 있는 교리와 다른 교리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 가서 사과했다.... 하나님의 백성들이 함께 교제할 때 부흥이 일어난다.”

 

성경은 교리에 대해 어떻게 말씀하고 있는가?

 

   a. 우리는 거짓 교리를 가르치는 자들과 분리되어야 한다. (롬 16:17)

   b. 우리는 모든 거짓 교리의 바람에 주의해야 한다. (엡 4:14)

   c. 말씀 선포자(설교자)는 교리에 주의해야 한다. (딤전 4:16)

   d. 성경은 교리를 위해 주어졌고(딤후 3:16), 교리로 선포되도록 주어졌다. (딤후 4:2)

   e. 마지막 때는 건전한 교리로부터 돌아서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딤후 4:3)

   f. 말씀 선포자는 교리를 사용하여 교회를 세우고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딛 1:9)

   g. 우리는 건전한 교리에 의해 그리스도 안에 거한다. (요일 2:24-27)

   h. 어떠한 거짓 교리도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 (딤전 1:3)

 

 

 

3. 긍정적 사고(Positivism), 판단하지 않는 철학(judge-not philosophy), 교리적 논쟁의 혐오, 중립주의(neutrakism)의 태도, 영적 평화주의(pacifism) 등을 사랑함.

   

   “신복음주의는.....분리주의를 거부하는 점에서 근본주의와 다르다.”(해롤드 오켕가)

 

예 :

   a. 빌리 그래함 : “복음주의 협회(역자 주 : 빌리그래함 복음주의 협회)는 호의적이든 적대적이든 어느 특정 교단을 판단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우리는 교회 안에 있는 다양한 분열에 관여할 의도가 없다. (빌리 그래함, United Church Observer, 1966년 7월 1일)

 

   b. 교회 성장 철학 : 메시지는 반드시 비논쟁적이고 낙관적이어야 한다. “피터 와그너는 누구에게 대해서도 부정적인 평가를 하지 않는다. 그는 무엇이 좋은 것인가를 찾고, 어떠한 비평적 질문도 하지 않은 채 그 좋은 것을 긍정하는 것으로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c. Promise Keeper 지지자들에게서 온 편지

 

     “나는 당신이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지 말 것을 요구하면서 이 편지를 시작하고 맺고자 한다.”

     “나는 심한 혐오감으로 당신의 좁은 견해와 판단하는 주장을 읽었다....”

     “이 마지막 때에 우리의 차이점보다는 공통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d. 말씀 선포를 대적하는 현대 기독교 음악(CCM) 철학

 

     “나는 거친 설교조가 아닌 방식으로 교제한다.”(Steven Curtis Chapman)

     “우리는 설교조를 일절 배제한 채 청년 문제와 상태를 다룬다.”(Morgan Cryar)

     “나는 사람들을 향하여 말씀 선포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Randy Stonehill)

     “우리는 가능한 한 설교조가 아닌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한다.” (Donna Summers)

 

성경은 어떻게 말씀하고 있는가.

 

   a. 성경에는 “부정적인 것”과 긍정적인 것이 모두 있다. 말씀 선포자의 일은 그 모두를 선포하는 것이다. (딤후 4:2)

   b. 구약의 대언자들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에녹:유다 14-15)

   c.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늘(천국)보다 지옥에 관하여 더 많이 선포하셨다.

   d. 바울은 계속해서 교리적 논쟁에 연루되었다. - 파포스의 마법사 엘리마스(행 13:9-10), 빌립보의 유대인 불신자(행 13:40-41), 에베소의 거짓 교사들(행 20:28-31), 부활에 관해 의문을 가진 자들(고전 15장), 고린도의 거짓 그리스도와 복음(고후 11장), 갈라디아의 유대주의자들(갈라디아서), 빌립보의 악한 일꾼들(빌 3:2), 골로새의 그노시스주의자들(골 2장). 목회서신서에서 바울은 거짓 교사들과 타협자들의 이름을 10번이나 거론하면서 그들에 관해 경고했다.

 

 

 

4. 교리의 재고찰

 

   “신복음주의자들은......인간의 태고성, 홍수의 보편성, 창조에서의 하나님의 방법, 등과 같은 신학적 문제들의 재고찰을 강조하였다.”(해롤드 오켕가)

 

해롤드 린젤은 그의 저서 ‘Battle for the Bible"과 “Bible in the Balance"에서 복음주의자들 가운데 널리 퍼져있는 성경 영감 교리의 몰락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유감스럽게도 필자는 복음주의자란 용어가 너무나 타락해서 그 유용성을 상실했다고 결론을 내리지 않을 수 없다......40년 전에 복음주의자란 용어는 신학적으로 정통이며 그 특성 중 하나로 성경의 무오류성을 주장하는 자들에게 주어졌다.....그로부터 약 10년도 못 지나서 신복음주의는....성경의 무오류성(infallibility)이나 무오성(inerrancy)에 관하여 점점 증가하는 회의론으로 인해 내부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해롤드 린젤, The Bible in the Balance, 1979, p.319)

 

성경은 어떻게 말씀하고 있는가 : 예수 그리스도는 구약이 무오류(無誤謬)한 성경기록이라고 가르치셨다.

 

   a. 구약은 완전한 문자이다.(마 5:17-18)

   b. 구약은 폐할 수 없다.(요 10:35)

   c. 구약은 신성하게 계획된 책이다. (눅 24:44)

   d. 구약의 모든 부분은 영감을 받았고 권위가 있다(눅 24:44). 구약에 기록된 인물, 사건, 기적은 참되며, 역사적 사실이다 : 창조(막 13:19), 아담과 이브(마 19:4-6)(막 10:6-7), 노아와 홍수(마 24:37-39),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눅 17:28-29), 요나와 고래(마 12:39-41)

   e. 성경기록은 스스로 구약성경의 저자들을 주장하였다. : 모세는 율법책들을 기록하였다(눅 24:44). 다니엘과 이사야는 자신들의 이름이 실린 책을 기록했다(마 24:15)(요 12:38-41)

 

 

 

 

5. 지적 교만 : 학문의 교만

   

   “신복음주의는....현 시대의 신학적 대화에 참여하는 점에서 근본주의와 다르다.....신복음주의자들은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기독교 신학의 재진술, 신학적 논쟁에의 재참여를 강조하였다.” (해롤드 오켕가)

 

예:

   a. 빌리 그래함은 1971년에 개최된 미복음주의자협회(NAE) 연차 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Christianity Today 지(誌)가 29년 전에 크게 요구되었던 지적인 탁월함과 창의력을 복음주의자들에게 주는 일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믿는다.”

   b. 죤 스톳트(John R. W. Stott)는 1998년에 대담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50년이 넘게 진정한 복음주의 그리스도인은 근본주의자가 아니라고 주장해 왔다. 근본주의자들은 비지성적이며, 영감의 구술설(口述說)을 주장하며, 해석에서 문자주의적이며, 기독교의 사회적 책임을 부인하며, 인종적 편견에 관대하며, 에큐메니즘에 대해서 전적으로 부정적인 경향이 있다.”

 

성경은 어떻게 말씀하고 있는가

 

   a. 하나님께서는 지적인 교만에 대하여 경고하고 계신다(잠 11:2)(고전 1:25-30)  “하나님께서 지혜로운 것들을 부끄럽게 하시려고 세상의 어리석은 것들을 택하시고, 하나님께서 강한 것들을 부끄럽게 하시려고 세상의 약한 것들을 택하시며”

   b. 초세기에 하나님께서 부르신 말씀 선포자들은 겸손한 사람들이었다(행 4:13) “학식이 없는 무식한 사람들”

   c. 말씀 선포자에 대한 하나님의 기준에는 고등학문의 학위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디모데전서 3장)(디도서 1장).

 

 

 

 

6. 사회적 정치적 활동을 위대한 명령(Great Commision)과 동일한 수준으로까지 높임

 

   “많은 복음주의자들이 ....사회 참여의 요구에 대하여 열렬한 반응을 보였다.....신복음주의는 삶의 사회학적, 정치적, 경제적 분야에 복음을 적용하는 것을 새롭게 강조한다.” (해롤드 오켕가)

 

예 :

   a. (미복음주의자협회(NAE)의 한 분과인) 복음주의해외선교협회(Evangelical Foreign Mission Association)는 1966년에 사회 활동에 관한 다음의 성명을 채택했다. “....가능한 언제든지 복음주의자의 사회 활동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증언을 포함할 것이다.....우리는 모든 복음주의자들에게 전세계에 걸친 모든 형태의 인종의 평등, 인간의 자유, 사회 정의를 위하여 공공연하고 확고한 입장을 가질 것을 권하는 바다.”

 

   b. “복음과 복음의 사회적 관계, 개인적 회심과 사회적 활동은 모두 교회의 사명에 포함된다.” (David Hubbard, 풀러 신학교 학장, AP, Los Angels Herald-Examiner, 1971년 5월 15일)

 

   c. “....우리는 복음주의와 사회 정치 참여가 모두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의 의무의 한 부분이라고 단언하는 바이다.” (세계복음화국제대회, 로잔, 스위스, 1974년 7월)

 

   d. “모든 World Vision 프로젝트에서 일하는 자들은 지역사회가 요구할 때에는 언제든지.....그들의 소망에 관한 이유를 제시할 준비가 되어 있다.....우리가 일하는 모든 나라에서 공식적인 공개된 복음주의는 국가 정책으로 금지되었으며, 우리는 그 정책을 존중한다.” (World Vision web site)

 

   e. “우리는 그것이 기독교의 영역이 아님을 알고 있다. 우리는 복음을 전파하는 일에 주의하지 않는다.” (글랜다 무어 간호원, 나사렛 교회, 인도에서 지진 희생자에 대한 사역을 설명하면서)

 

 

성경은 어떻게 말씀하고 있는가

 

   a. 위대한 명령은 사회적 정치적 활동에 대하여 어떠한 것도 언급하지 않는다(마 28:18-20).

   b. 사도들은 사회적 정치적 활동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오로지 복음을 선포하는 일에 자신을 드렸다(행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