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Q.T

부스러기 은혜를 구하는 겸손한 믿음

천국생활 2024. 6. 21. 19:08

 

부스러기 은혜를 구하는 겸손한 믿음 영상큐티보기

마가복음 7:24 - 7:37

24 예수께서 일어나사 거기를 떠나 두로 지방으로 가서 한 집에 들어가 아무도 모르게 하시려 하나 숨길 수 없더라

25 이에 더러운 귀신 들린 어린 딸을 둔 한 여자가 예수의 소문을 듣고 곧 와서 그 발아래에 엎드리니

26 그 여자는 헬라인이요 수로보니게 족속이라 자기 딸에게서 귀신 쫓아내 주시기를 간구하거늘

27 예수께서 이르시되 자녀로 먼저 배불리 먹게 할지니 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치 아니하니라 28 여자가 대답하여 이르되 주여 옳소이다마는 상 아래 개들도 아이들이 먹던 부스러기를 먹나이다

29 예수께서 이르시되 이 말을 하였으니 돌아가라 귀신이 네 딸에게서 나갔느니라 하시매 30 여자가 집에 돌아가 본즉 아이가 침상에 누웠고 귀신이 나갔더라

31 예수께서 다시 두로 지방에서 나와 시돈을 지나고 데가볼리 지방을 통과하여 갈릴리 호수에 이르시매 32 사람들이 귀먹고 말 더듬는 자를 데리고 예수께 나아와 안수하여 주시기를 간구하거늘

33 예수께서 그 사람을 따로 데리고 무리를 떠나사 손가락을 그의 양 귀에 넣고 침을 뱉어 그의 혀에 손을 대시며 34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시며 그에게 이르시되 에바다 하시니 이는 열리라는 뜻이라 35 그의 귀가 열리고 혀가 맺힌 것이 곧 풀려 말이 분명하여졌더라

36 예수께서 그들에게 경고하사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라 하시되 경고하실수록 그들이 더욱 널리 전파하니 37 사람들이 심히 놀라 이르되 그가 모든 것을 잘하였도다 못 듣는 사람도 듣게 하고 말 못 하는 사람도 말하게 한다 하니라

본문해설

[오늘의 말씀 요약]

한 이방 여인이 딸에게서 귀신을 쫓아 달라며 예수님 발아래 엎드립니다. 예수님이 자녀의 떡을 개들에게 주지 않는다 하시자, 여인은 개들이 먹는 부스러기라도 구합니다. 이에 그 딸이 고침을 받습니다. 주님은 귀먹고 말 더듬는 이를 고쳐 주시며 그 일의 발설을 금하시지만, 무리가 널리 전합니다.

 

수로보니게 여인 7:24~30

두로는 바알을 숭배하는 이방 지역입니다. 두로에 가신 예수님께 수로보니게 여인이 찾아옵니다. 유대인에게 이 여인은 가까이할 대상이 아닙니다. 두로(이방 지역)에 거주하는 헬라인(이방 문화)이요, 귀신 들린 딸(제의적 문제)의 모친이기 때문입니다. 여인이 딸의 치유를 위해 예수님 발아래에 엎드려 자비를 구합니다(25절). 예수님은 ‘자녀의 떡’(유대인의 몫)을 ‘개’(이방인)에게 줄 수 없다며 거절하시는 듯합니다(27절). 여인은 굽히지 않고 개들도 상 아래 떨어진 부스러기를 먹는다고 호소합니다(28절). 식사 전 빵을 조금 떼서 손을 닦을 때 바닥에 떨어진 부스러기는 개 몫이 아니냐는 논리입니다. 여인의 믿음에 감탄하신 예수님이 딸을 치유해 주십니다. 겸손과 끈질긴 믿음에 베푸신 이적입니다.

 

에바다 이적 7:31~37

예수님이 갈릴리로 오시자 사람들이 ‘귀먹고 말 더듬는 자’를 데려와 예수님께 안수를 부탁합니다(32절). 청각과 언어의 장애는 타인과의 소통이 끊긴 삶을 암시합니다. 예수님은 그 사람을 따로 데리고 나가 그의 귀에 손을 넣으시고, 침을 바른 손을 그의 혀에 대십니다(33절). 이는 단절의 삶을 살아왔던 그와 소통하시려는 예수님의 특별한 행동으로 봅니다. 예수님이 탄식하시며 “에바다”(“열리라.”라는 뜻)라고 외치시니 그의 귀와 혀가 치유됩니다(34~35절). 치유받은 사람은 ‘열린 귀’로 하나님 말씀을 듣고, ‘풀린 혀’로 하나님을 찬양했을 것입니다. ‘에바다’는 말씀을 듣는 귀와 기도하는 혀가 굳은 성도에게 여전히 필요한 은혜입니다.

더 깊은 묵상

● 예수님의 냉대에도 수로보니게 여인이 보인 태도는 어떠했나요? 내가 주님 앞에 겸손한 믿음으로 끝까지 간구할 것은 무엇인가요?

● 예수님이 귀먹고 말 더듬는 자를 치유할 때 취하신 행동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내게도 필요한 ‘에바다’의 은혜는 무엇인가요?

오늘의 기도

주님, 은혜받을 만한 자격이 없는 제게도 은혜와 긍휼을 베푸시는 주님을 찬양합니다. 자존심을 내려놓고 겸손함으로 주님의 도움을 구하며 살아가게 하소서. 모든 것을 새롭게 하시는 전능하신 주님을 신뢰하며, 제 삶에 있는 작은 고민과 걱정까지 주님께 맡기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