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상식

인터넷 상식

천국생활 2007. 2. 28. 10:21

아래로

간단한 인터넷 지식(인터넷 주소)
편의상 < > 는 ( )로 쓴다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 자료는 각각 주소가 있다. 
이 주소를 source(소스=자료출처)라고 한다
인터넷에서 자료가 저장된 곳 주소는 자기 컴퓨터 폴더에 저장된 그것과는 전혀 다르다.  
인터넷 주소는 인터넷을 접속하여 그 주소와 연결하면 누구나 어디에서나 자료를 볼 수 
있는 자료 저장 장소이다.
인터넷 주소는 아래와 같은 형식을 갖춘다

(http://jungjai.com.ne.kr/mymusic/kmusic/chingu.mp3)  
위에서 
http://www.(www가 없는 경우도 있음) 은 "여기가 인터넷 집입니다" 를 가리키는 것이고
jungjai.com.ne.kr 은 인터넷 집에 살고 있는 주인 이름이고
mymusic 은 jungjai.com.ne.kr  집에 음악 물건을 보관하고 있는 방이고
kmusic 은 mymusic 방의 선반 위인가 또는 다락방인가 하는 구역이다.
    (/mymusic/kmusic/ 은 같은 방을 나눠놓은 것) 
chingu.mp3 그 방에 보관된 음악이라는 물건 이름이다
포장한 포장지에 따라 mp3 또는 wmp 또는 asf 등 구별하여 이름을 붙인다.
사진을 보거나 노래를 듣거나 특종 기사를 볼 때 각각 보관되어 있는 주소에서 
불러내어 보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 자료들을 그들이 보관된 있는 주소를 알아야 노래도 들을 수 있고 
사진도 볼 수 있다.

아래로

(1) 음악(노래)이 보관된 주소를 찾아가 보자. 인터넷 주소의 어느 문패에서나 볼 수 있는 글자는 "http://www.(www.가 없는 것도 있음)이다. 이 "http://www. 여기는 "인터넷 집주소이다" 라는 표시이다. 인터넷 주소 집주인 이름이 무엇인가를 찾아보자 집주인 이름은 "인터넷 주소이다(http://)" 글자 다음에 붙는다. 즉 http://jungjai.com.ne.kr 여기서 jungjai.com.ne.kr 이 인터넷 주소 집주인의 이름이다. 인터넷 주소 집주인은 보관할 물건에 따라 각방을 나누어 보관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대개는 나누어 보관한다 음악이란 물건을 보관하는 방을 mymusic, 그림을 보관하는 방을 images 이름지어서 나누었다고 하자. 이들 방 앞에는 슬레쉬( / )라는 것을 붙인다. 음악이라는 방에 저장할 음악도 그 포장에 따라 mp3, wma, wmv, asf 등 각각 이름을 붙인다. 포장에 구별하는 이름 앞에는 마침표( . )을 붙인다. 이것을 연결해서 기록해 보자 (http://jungjai.com.ne.kr/mymusic/kmusic/chingu.mp3)(꼭 붙여쓴다) http:// ----인터넷 주소(www.가 붙는 것도 있다) jungjai.com.ne.kr ----인터넷 주소지에 사는 집주인 /mymusic ----노래를 보관하는 방 이름 /kmusic ----/mymusic 방안의 장소 /chingu.mp3 ----.mp3 포장에 따라 불인 이름

아래로

(2) 노래를 들리게 하는 구문 우리는 (embed src="http://jungjai.com.ne.kr/mymusic/kmusic/chingu.mp3" 저쩌고) 라는 노래가 나오도록 하는 문장 짜임을 눈에 익혀두자. 우선 embed란 무슨 뜻이고 역할은 무엇이냐를 따져보자 embed 는 영한사전을 찾아보면 “끼어넣는다” 란 뜻이 있다 src 는 source 즉 주소(속성=자료출처)라는 뜻을 줄인 단어이다 그럼 이들 단어를 연결하여 말을 만들어 보자 “끼어넣다 주소” 이다 끼어넣다 (embed) 주소(src) 는 “주소를 끼어넣다”라고 하는 뜻이다. (embed src="http://jungjai.com.ne.kr/mymusic/kmusic/chingu.mp3" 저쩌고(width=300 height=45 autostart=true hidden=false volume=0 loop=true)> 위와 같이 보면 복잡한 것처럼 보이는데 사실은 (embed src="http://jungjai.com.ne.kr/mymusic/kmusic/chingu.mp3")가 핵심이고 나머지는 이 노래가 어떤 상태로 실행되기를 지시하는 보충 글에 불과하다. 이 보충 글을 살펴보자 1. 음악이 자동으로 연주되게 할 것이냐 play 명령을 해야 연주되게 할 것이냐를 지시할 때 autostart 라는 지시어를 쓴다. autostart="true" 문서가 뜨는 동시에 음악이 자동으로 연주되라는 지시어 autostart="false" 상태창에서 ▶(play)를 눌러야 연주를 시작하라는 지시어 2. 음악이 흐르는 상태를 보여주는 플레이어를 나타낼것이냐 또는 숨길것이냐를 지시할 때 hidden 이라는 지시어를 쓴다. hidden="true" 는 뮤직플레이어를 숨기라는 지시어 hidden="false" 는 뮤직플레이어를 나타내라는 지시어 (사실 이 지시어는 뮤직플레이어를 숨길 때만 필요하다. 이 지시어를 써넣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플레이어가 보이도록 되어 있다) 3. 연주를 반복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유도해 주는 지시어로 loop 을 쓴다 loop=infinite"(또는 true)는 음악을 무한히 계속 반복하라는 유도어 loop="1" 이면 음악이 한곡만 나오고 멈추지요 loop="2" 면 당연히 두번 연주 되겠죠 loop="-1" 이렇게 해도 음악을 무한 반복한다. 4. volume=" 원하는 수" 를 넣으면 음악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volume="0" 일반적인 크기로 5. 플레이어를 나타나게 할 때 그 크기를 결정하려면 가로 길이와 높이를 정해주어야 한다. width="수치" 미디어 플레이어의 가로 크기, height="수치" 미디어 플레이어의 세로 크기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를 보이게 하고 연주는 수동 조작을 하고 무한 반복을 하는 경우는 (embed src="http://jungjai.com.ne.kr/mymusic/kmusic/chingu.mp3" autostart="false" hidden="false" loop="-1" width=300 height=45)

아래로

(3) 노래 주소복사하여 저장하기 노래주소의 형태는 위에서 보였으므로 기억이 날 것이다 다시 보이면 (embed src="http://jungjai.com.ne.kr/myusic/kmusic/chingu.mp3" autostart="false" hidden="false" loop="-1" width=300 height=45) 위와같이 짜인 글을 복사하여 다른 사람에게 이메일로 보내면 받는 사람은 바로 노래를 들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노래를 나오게 하는 글은 노래가 나오는 인터넷상의 자료에는 반드시 포함되어 있다 또 (http://jungjai.com.ne.kr/mymusic/kmusic/chingu.mp3) 구문 즉 주소만 알고 있을 경우에는 앞쪽에 (embed src="를 붙이고 또 그 뒤에 autostart="true" 등 지시어를 붙여 음악이 연주되는 구문으로 만들어 주면 음악이 연주된다 그러면 이런 음악이 나오는 구문을 어떻게 복사하고 보관할 것인가에 알아보자. 이 구문은 노래가 나오는 인터넷 자료에는 반드시 있다 보내온 이메일에서 찾아보자 보내온 이메일 박스 밖 가장자리에 마우스 화살표를 놓고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보면 항목표가 보인데 그 표 중간쯤에 “소스보기”란 항목이 보인다. 이 “소스보기”를 클릭한다. 그러면 영어로 쓰인 문서창이 나타난다. 이 문서에는 (embed src="http://jungjai.com.ne.kr/mymusic/kmusic/chigu.mp3" autostart="false" hidden="false" loop="-1" width=300 height=45) 와 같은 내용으로 꾸며진 구문이 있다. 이것을 찾아야 한다 메일 내용이 노래와 노래 가사 또는 다른 텍스트 기사와 함께 쓴 문장이라면 영어로 쓰여진 문서창에서 노래 가사라든지 또는 함께 쓰인 기사를 우선 찾고 그 위 아래에서 노래가 나오는 구문을 찾으면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영어문서창 위에서 밑으로 5분의 2정도 내려오면서 살펴보면 (!--메일내용 Start--) 가 보이는데 바로 이 아래의 글이 메일 내용이며 그 내용 중에 음악 구문이 있다. 어떤 것에는 “광고분석”이란 글이 보이기도 한다. 이 글 아래 어딘가에 노래 구문이 꼭 박혀 있다. 그 근처에서 페이지를 좌우로 밀어가면서 찾으면 그놈이 별 수 있나요. 지가 띠어봐야 버룩이지요. 이 구문을 찾았으면 복사해서 내가 보기쉬운 장소로 옮겨놓아야 편리하다. 즉 내 컴퓨터의 내문서- my music 방에 저장해두면 이용하는 데 편리하다. 그럼 복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음악구문을 블록으로 씌운 다음 마우스 화살표를 그 블록 위에 올려 놓고 마우스 오른쪽을 누르면 복사(COPY)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 복사를 클릭한다. 불럭을 쉽게 씌우는 방법은 (embed 까지만 드래그(-마우스 왼쪽을 누르고 오른쪽으로 끈다-)하여 브럭을 씌우고 마우스를 어느 키도 누르지 말고 블록씌울 구문 끝에 가서 먼저 키보드의 Shift키를 누른 다음 구문 바깥쪽(꺽쇄바깥쪽)에 마우스 화살표를 대고 클릭(왼쪽을 누르면)하면 블록이 쉽게 씌여진다. <참고> 이 복사 사실은 다른 것을 복사하거나 컴퓨터를 껏다 켜지 않는 한 컴퓨터가 기억하고 있다

아래로

이것을 내 컴퓨터에 자장하자 나모가 깔려 있으면 나모를 열고 [ 파일->새글->왼쪽사각상자] 순으로 클릭하 다음 하단에 있는 상태줄에서HTML을 클릭한다. 그러면 (body) <----여기에 복사 (p)--->(/p) (/body) (/html) (body) 밑 빈칸이 있는데 여기에 마우스 화살표 놓고 마우스 오른쪽 누르면 붙이기(붙여넣기) 항목이 보이는데 이것을 클릭하면 여기에 음악구문이 복사된다. 복사된 것을 확인해 보자 하단 미리보기를 클릭하면 노래가 나올 것이다. 노래가 나오면 복사가 잘 된 것이다 이것을 내 컴퓨타에 저장하자 [파일-->다른이름으로저장(save as)]을 클릭한다 저장할 방 즉 내문서의 my music 방을 열어 놓고 다음 저장할 이름을 정하라는 창에다 적당한 이름을 정한다. (예시된 노래 곡목이 “친구이야기”이므로 chingu 라고 이름을 정하자) 그리고 저장을 클릭하면 내문서 my music 방에 저장된다. (저장하는 방을 지정하는 것은 자료가 어데있는지 찾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이 노래 구문을 이용할 때는 나모를 열어놓고 [파일-->열기] 하고 my music 방에 거서 해당 파일을 두 번 클릭하면 내용이 뜨는데 하단에 HTML을 클릭하면 복사한 내용이 보인다. 이 내용을 복사하여 이메일로 이용하면 된다 나모가 깔려 있지 않으면 [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메모장]을 연다 그리고 붙이기(붙여넣기)를 하고 [파일-->다른이름으로 저장]을 누르면 모니터 중앙 밑쪽에 창이 하나 뜨는데 파일 형식이 *txt로 씌여 있다 이창을 움직여 보면 “모든파일”이 보인다. txt를 모든파일로 바꾼다음 적당한 이름을 정하고 그 이름 뒤에는 반드시 마침표(점)을 찍고 htm을 붙여 (예 chingu.htm) 내문서 my music에 저장한다. 이 내용을 이용하려면 [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메모장]을 열고 파일형식을 [모든파일]로 바꾸고 내문서 my music 방에 가서 저장된 파일을 열기한다. 그러면 원래의 내용이 뜬다 이 내용을 복사해서 다른 사람에게 이메일로 보내면 된다.

아래로

(4) E-Mail에서 노래 주소 보내기 한메일에서는 이메일에 소스를 붙이기할 때 붙이기하기 전에 반드시 [HTML] 를 클릭하고 붙이기를 한다. 붙이기 한 후에는 [에디터]를 클릭해야 한다. 붙이기 순서 [ 에디터 ] [ HTML ] [텍스트] 1--> [ HTML ] 클릭 2--> 복사 내용 붙이기 3--> [ 에디터 ] 클릭 글씨를 넣고 싶을 때는 [에디터]를 클릭하기 전에 노래 구문 위쪽이나 아래쪽 어느쪽에든지 글씨를 써넣으면 된다. 글씨 행을 바꿀 때나 글씨 줄과 음악 플레어를 각각 다른 행으로 할 때는 문장 뒤에 (br)을 붙여준다 . 이렇게 글씨까지 다 쓴 다음에 [에디터]를 클릭하고 맨 하단에 있는 [보내기]을 누르면 상대방에게 멋진 메일을 보낼 수 있다. 사진이나 그림을 보낼 때도 음악을 보내는 요령과 같이하면 된다. 사진을 보내는 구문은 (img src="http://jungjai.com.ne.kr/images/gita/gt-001.jpg width=600 height=400 border=0) 형식이며 음악 구문과 비교하면서 음악구문 처럼 처리하여 이메일로 보내면 된다. 주소가 없는 그림은 첨부파일로밖에 보낼 수 없다

맨 위로

'컴퓨터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rame 태그 설명  (0) 2007.02.28
배경음악 올리는 방법  (0) 2007.02.28
파일 소스 막을때  (0) 2007.02.28
컴퓨터 박사  (0) 2007.01.24
컴퓨터 질의응답 모음..  (0) 2007.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