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ilippians 4:10 - 4:19 ] - hymn 428
I
have learned the secret of being content in any and every
situation. PHILIPPIANS 4:12 Sometimes I suspect my cat Heathcliff
suffers from a bad case of FOMO (fear of missing out). When I come home with
groceries, Heathcliff rushes over to inspect the contents. When I’m chopping
vegetables, he stands up on his back paws peering at the produce and begging me
to share. But when I actually give Heathcliff whatever’s caught his fancy, he
quickly loses interest, walking away with an air of bored resentment. But
it’d be hypocritical for me to be hard on my little buddy. He reflects a bit of
my own insatiable hunger for more, my assumption that “now” is never
enough. According to Paul, contentment isn’t natural—it’s learned
(PHILIPPIANS 4:11). on our own, we desperately pursue whatever we think will
satisfy, moving on to the next thing the minute we realize it won’t. Other
times, our discontent takes the form of anxiously shielding ourselves from any
and all suspected threats. Ironically, sometimes it takes experiencing what
we’d feared the most in order to stumble into real joy. Having experienced much
of the worst life has to offer, Paul could testify firsthand to “the secret” of
true contentment (VV. 11–12)—the mysterious reality that as we lift up to God
our longings for wholeness, we experience unexplainable peace (VV. 6–7), carried
ever deeper into the depths of Christ’s power, beauty, and grace. MONICA
BRANDS |
|
[
빌립보서 4:10 - 4:19 ] - 찬송가 428 장
나는
그 어떤 경우에도 스스로 만족하게 생각하는 비결을 배웠습니다. 빌립보서 4:12, 현대인의 성경 가끔 내 고양이 히드클리프가
심한 포모(Fear of Missing Out 상실 공포감)에 걸려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들 때가 있습니다. 내가 식료품을 사가지고 집에 오면
히드클리프는 무얼 사왔는지 보려고 달려옵니다. 야채를 다듬고 있으면 뒷발로 몸을 세우고 서서 야채를 쳐다보며 자기도 좀 달라고 구걸합니다.
하지만 정작 그가 좋아함직한 음식을 주면, 금방 흥미를 잃어버리고 기분 나쁘다는 듯이 가 버립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내가 만일 이 꼬마
친구를 야단친다면 그것은 내가 위선적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의 태도 에서 “현재”로는 결코 충분치 않다는 생각에 더 많은 것을 원하며 만족할
줄 모르는 나의 배고픔이 엿보이기 때문 입니다. 바울에 의하면, 만족이란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배워야 하는 것입니다(빌립보서 4:11).
우리 자신도 무엇이든 만족을 얻는 것이라 생각하여 필사적으로 추구하다가, 만족을 얻지 못한다고 깨닫는 순간 다른 것으로 옮겨 갑니다. 그러다가
어떤 때는 우리에게 위협이 될지 모르는 어떤 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모습으로 불만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역설적이지만, 가끔은 진정한
즐거움에 빠져들기 위해서는 가장 무서워하는 것을 일부러 경험할 필요도 있습니다. 최악의 삶을 많이 경험했던 바울은 진정한 만족의 “비밀”을 직접
체험으로 증언할 수 있었습니다(11-12절). 신비로운 사실은, 온전해지고자 하는 갈망을 하나님께 올려드리면 그리스도의 능력과 아름다움과 은혜의
깊숙한 곳으로 더 깊이 들어가 설명하기 힘든 평강을 경험한다는
것입니다(6-7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