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uke 15:11 - 15:24 ] - hymn 525
[They]
muttered, "This man welcomes sinners and eats with them.". Luke
15:2 Author Henri Nouwen recalls his visit to a museum in St. Petersburg,
Russia, where he spent hours reflecting on Rembrandt’s portrayal of the prodigal
son. As the day wore on, changes in the natural lighting from a nearby window
left Nouwen with the impression that he was seeing as many different paintings
as there were changes of light. Each seemed to reveal something else about a
father’s love for his broken son. Nouwen describes how, at about four
o’clock, three figures in the painting appeared to “step forward.” one was the
older son who resented his father’s willingness to roll out the red carpet for
the homecoming of his younger brother, the prodigal. After all, hadn’t he
squandered so much of the family fortune, causing them pain and embarrassment in
the process? (LUKE 15:28–30). The other two figures reminded Nouwen of the
religious leaders who were present as Jesus told His parable. They were the ones
who muttered in the background about the sinners Jesus was attracting (VV.
1–2). Nouwen saw himself in all of them—in the wasted life of his youngest
son, in the condemning older brother and religious leaders, and in a Father’s
heart that’s big enough for anyone and everyone. What about us? Can we see
ourselves anywhere in Rembrandt’s painting? In some way, every story Jesus told
is about us. MART DEHAAN |
|
[
누가복음 15:11 - 15:24 ] - 찬송가 525 장
[그들이]
수군거려 이르되 이 사람이 죄인을 영접하고 음식을 같이 먹는다 하더라 누가복음 15:2 작가 헨리 나우웬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박물관에 가서 렘브란트의 돌아온 탕자 그림을 오랫동안 감상했던 때를 돌이켜 봅니다. 날이 저물며 근처 창문에서 들어오는
자연광이 바뀌면서 나우웬은 빛이 바뀌는 것만큼 여러 다른 그림을 보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달리 보이는 그림 하나하나는 망가진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사랑을 서로 다르게 보여주는 듯 했습니다. 나우웬은 네 시 쯤 되니까 그림 속의 세 인물이 “앞으로 걸어 나오는”
것처럼 보였다고 설명합니다. 그 중 한 사람은 탕자인 동생이 집에 돌아오자 극진히 환대한 아버지에게 분개한 큰 아들이었습니다. 어쨌든 동생은
상당히 많은 집안 재산을 낭비함으로써 가족을 내내 고통과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만들지 않았던 가요?(누가복음 15:28-30). 다른 두
인물을 보며 나우웬은 예수님이 비유를 들어 말씀하실 때 그 자리에 있었던 종교지도자들이 생각났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에게로 다가왔던 죄인들에
대해서 뒤에서 이러쿵저러쿵 수군거렸던 사람들이었습니다(1-2절). 나우웬은 그림 속의 모든 인물들에게서 자기 자신의 모습을 보았습니다.
낭비하는 삶을 살았던 작은 아들, 비난하는 형, 종교지도자들, 그리고 어떤 사람도 다 품을 수 있을 만큼 넓은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에서 자기
자신의 모습들을 보았습니다. 우리는 어떻습니까? 렘브란트의 그림 어느 부분에서 우리 자신을 볼 수 있습니까? 어떤 면에서는, 예수님이 하신
모든 이야기는 우리 자신에 관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