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상식

개인정보 삭제하기

천국생활 2008. 11. 28. 14:19

 

 

컴퓨터 처분 시, PC속 개인정보 깔끔하게 삭제하기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속도가 느리거나 고장이 나서 폐기 처분하는 일이 발생한다. 혹은 회사에서 근무하다가 이직을 할 때도 그간 사용하던 컴퓨터와 이별해야 한다. 이렇게 정든 컴퓨터와 헤어질 때 우리는 컴퓨터에 저장되었던 각종 개인정보와 데이터를 제대로 삭제하는가?



41개의 하드디스크 중에서 30%에서 총 1349명의 개인정보를 발견했다고 한다. 개인정보라 함은 주민등록번호와 이름, 거주지 등의 신상정보는 물론 하드디스크 사용자가 사용한 인터넷 사용 내역과 인터넷 뱅킹의 계좌번호와 공인인증서 그리고 각종 메일 메시지와 파일 등을 말한다.


게다가 직장에서 사용하던 컴퓨터에서는 회사내의 중요 기밀 자료들인 장부와 각종 사업계획서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만일 이러한 파일들이 외부로 유출된다면 얼마나 심각한 일이 벌어지겠는가?

그런데도 불구하고 중고 하드디스크의 65%는 포맷조차 하지 않고 거래가 되고 있다고 했다. 이렇게 컴퓨터 속의 하드디스크에는 소중한 개인정보와 자료가 저장되어 있으며 컴퓨터와 이별할 때는 반드시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을 말끔하게 삭제해줘야 한다. 컴퓨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삭제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1. 컴퓨터 속의 기본정보 삭제하기

 

컴퓨터에 저장된 자료는 어떻게 삭제해야 할까? 사실 PC에 저장된 파일을 완벽하게 삭제하기란 쉽지 않다. 하드디스크를 물리적으로 완전히 폐기 처분하지 않는 이상 완벽하게 파일을 몽땅 삭제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구 상의 폐기된 하드디스크를 뒤지면서 많은 공을 들여서 파일을 복원하려는 경우는 희박하기 때문에 완벽하게 하드디스크를 폐기할 필요까지는 없다. 단지 개인 정보가 저장된 파일만 삭제하는 것으로도 사실 충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용자들이 컴퓨터를 폐기하거나 처분할 때 이러한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있다.


컴퓨터에는 실제 파일의 형태로 내가 저장한 개인적인 자료 외에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저장되는 정보들이 있다. 예를 들어 익스플로러로 서핑한 WWW 사이트의 정보와 자료들, 공인인증서와 각종 쿠키 정보들이다. 이들 자료들은 반드시 삭제를 해줘야 한다. 또한 윈도우 XP나 윈도우 2000의 경우 부팅 시에 나타나는 사용자 계정 정보도 삭제해주는 것이 좋다. 이러한 개인 자료와 정보들을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1) 각종 인터넷 기록 정보 삭제하기
    익스플로러를 이용해 돌아다닌 WWW 사이트의 목록과 그 웹 페이지의 각종 콘텐츠는 고스란히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파일을 통해서 사용자가 어떤 사이트를 언제 연결하고 거기서 무엇을 봤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누가 나를 미행한다면 그 마음이 어떨까? 익스플로러로 돌아다닌 인터넷 흔적을 보는 것은 현실 세계에서의 미행이나 다를바없다. 이러한 정보를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C 드라이브에서 ‘Documents and Settings'에는 윈도우 사용자별로 익스플로러와 아웃룩 익스프레스 그리고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환경설정 등이 저장되는 폴더들이 위치해있다. 이 폴더에는 윈도우 사용자 계정의 이름별로 폴더가 제공된다. 이 폴더에서 내가 사용하는 사용자 이름을 더블 클릭한다.


‘즐겨찾기’에는 익스플로러에서 즐겨찾기로 등록된 사이트 목록이 기록되어 있다. ‘My Documents’는 내 문서이다. 우선 즐겨찾기를 더블클릭해본다.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목록이 폴더와 사이트 URL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 모든 파일을 삭제하자. 삭제할 때는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고 바로 삭제되도록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예’를 클릭한다.


또한 Cookies 폴더에는 인터넷 서핑을 하며 기록해둔 특정 인터넷 사이트사용자 정보(사용자 아이디, 암호 등)가 저장되어 있다. 이 폴더에 저장된 모든 파일도 삭제한다.


Local Settings’를 더블클릭하면 ‘History’와 ‘Temporary Internet Files’가 나타난다. ‘Temporary Internet Files’에는 익스플로러로 연결해본 인터넷 사이트의 HTML 페이지와 각종 이미지, 플래시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이 폴더에 저장된 파일을 모두 삭제한다. 그리고 ‘History’를 더블클릭한다.

익스플로러를 이용해 연결했던 사이트 목록이 날짜별로 정리되어 있다. 이 목록도 모두 삭제한다.


MSN 메신저에도 많은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우선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통해서 MSN 메신저로 로그인하는데 이 아이디와 암호가 MSN 메신저에 저장되어 있다. 이것을 삭제하려면 ‘제어판 > 사용자 계정’을 실행한다.


사용자 계정에서 ‘내 네트워크 암호 관리’를 실행하고 ‘Passport’라고 씌어진 항목을 모두 제거한다. 이곳에 기록된 아이디와 암호가 MSN 메신저에 로그인할 때 사용된다.


그 외에 MSN 메신저에는 대화 내용을 저장하는 기능이 제공된다. 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메신저로 대화한 내용이 파일로 저장된다. 이 파일이 저장된 폴더의 위치를 찾아서 해당 파일을 모두 삭제해준다.


MSN 메신저로 다운로드 받은 전송 파일도 모두 제거해준다. 이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찾아서 파일을 말끔하게 삭제해준다.


 

※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정보
각종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도 삭제해준다. 이러한 정보는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Application Data’에 기록되어 있다. 이곳에 기록된 모든 파일은 삭제를 해준다. 또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Local Settings\Application Data’에서 ‘Identities’, ‘Microsoft’ 등의 폴더도 삭제한다. ‘Identities’ 폴더에는 전자우편 메시지가 기록되어 있으며 ‘Microsoft’에는 아웃룩의 메시지와 주소록 등이 저장되어 있다.



2) 사용자 계정 정보 삭제하기
컴퓨터에 남긴 개인 데이터를 한꺼번에 쉽게 없애려면 계정을 삭제하면 된다.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면 자동으로 해당 사용자가 남긴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열어본 페이지 목록과 전자우편 메시지는 물론 내 문서의 데이터까지 한 꺼번에 모두 삭제할 수 있다.

사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일일이 사용자 흔적을 없애는 것보다 사용자 계정을 통째로 없애버리면 한 번에 각종 개인 정보를 쉽게 없앨 수 있다. 윈도우 XP를 사용하고 있다면 우선 새로운 계정을 하나 생성한 후에 기존에 내가 사용하던 계정은 통째로 삭제해버린다. 이렇게 하면 내 개인정보를 쉽고 간단하게 초기화할 수 있다.

삭제할 계정을 클릭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모든 계정을 이러한 방법으로 삭제해주고 새 계정을 하나 만들어두는 것이 가장 좋다.


‘계정 삭제’를 클릭한다.


계정을 삭제함과 동시에 그 계정 사용자가 사용하던 바탕화면, 내 문서, 즐겨찾기, 전자메일 메시지와 각종 설정을 통째로 삭제하려면 이때 파일 유지가 아닌 ‘파일 삭제’를 클릭한다.


모든 파일이 삭제되었다. 이제 ‘계정 삭제’를 클릭한다.


계정이 삭제되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른 사용자 계정도 모두 삭제해준다. 그리고 새로운 계정을 하나 생성해준다.


사용자 계정을 삭제한 후에는 내가 개인적으로 설치했던 각종 프로그램도 삭제해준다. 특히 보안 유틸리티와 회사에서 설치해주지 않은 모든 프로그램은 삭제해준다. 프로그램을 삭제할 때는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이용한다.


※Tip : 인증서 삭제하기
사용자 정보를 삭제할 때 반드시 잊지 않아야 할 것이 공인 인증서이다.
인증서도

 

'컴퓨터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운 휴지통 살리기  (0) 2008.11.28
XP최적화 및 운영체제 팁 총정리  (0) 2008.11.28
완전히 삭제한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  (0) 2008.11.28
컴퓨터 내가 고치는 법  (0) 2008.11.28
컴퓨터 속도 높이기  (0) 2008.11.28